가톨릭대학교가톨릭대학교인공지능학과

 

교수진

겸무교원

안내사항

  • 교수진 정보는 아래 노출 순서 기준에 따라 정렬 되었습니다.

    * 노출 순서 기준 : 학과명순 - 직위순 - 입사일순 - 이름순

게시글 검색
전체
  • 유희주 교수

    Yu, Hee-Ju

    • 소속학과

      의생명과학과

    • 연구실

      다솔관 D736

    • 연구분야

      식물 세포 및 분자유전

    • 연구키워드

      식물 세포 발달생리 유전체 전사체

    유희주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이학박사(생물학과)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세포분화연구센터에서 박사후 연구원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농업연구사로 근무하였고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UC Davis)에서 방문연구원으로 근무하였음. 2010년부터 가톨릭대학교에 근무하면서 학과장, 학생및취창업처장, 중앙도서관장으로 활동함. 주전공은 세포분자유전 및 식물발달생물학이며 주요연구관심사는 '식물의 유전체, 전사체 정보 생산 및 이를 이용한 형질관련 유전자 기능탐색과 활용' 연구임. 특히 1) 무에서  전장유전체(whole-genome) 정보를 이용한 형질 유전자 탐색 및 대용량 마커 개발과 2) 포도의 오믹스 정보(전사체) 분석과 이를 이용한 종자발달 및 탄닌대사 관련 연구, 그리고 3) 2차 대사산물 생산(시코닌) 세포배양 연구를 함. 현재 한국식물학회 대의원과 한국유전학회 이사로 활동하며 생명과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함.
    Hee-Ju Yu was awarded a Doctor of Science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he worked as a postdoctoral researcher at the Cell Differentiation Research Cente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s an agricultural researcher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as a visiting researcher at the Dept. of Plant Biology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UC Davis). Since 2010, she has served as a department chairman, dean of student affairs and employment, and director of the central library. Her major is cellular molecular genetics and plant developmental biology. Her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production of plant genome and transcriptome information and the study of trait-related gene functions and utilization using omics information. She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life sciences by serving as a delegate of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logists and a board member of the Genetics Society of Korea.
  • 김상태 부교수

    Sang-Tae Kim

    • 소속학과

      의생명과학과

    • 연구실

      다솔관 D711

    • 연구분야

      생명과학, 진화유전체학, 유전체교정

    • 연구키워드

      식물 진화 유전체학 유전체교정 진화 유전학

    김상태 교수는 서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숲과 들을 지키는 식물의 변이와 분류에 관심이 있어 동 대학에서 식물분류학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예일대학교로 유학하여 식물 분류군의 진화 계통 및 배수화가 종분화 및 종 다양성에 미치는 역할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독일의 막스플랑크 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차세대 염기서열 기법을 통한 유전체학 연구 및 식물 종들의 자연 변이를 통한 적응과 진화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국내로 복귀하여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교정 연구단에서 연구위원으로, 인간과 동물, 식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물체에서 크리스퍼를 이용한 유전체 교정 연구를 새롭게 경험하고, 2020년 가톨릭대학교로 임용되어 현재는 ‘식물 진화 및 유전체학’ 연구실을 마련하여 다양한 생물종의 전장유전체-유전자형을 생산하고 집단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생물 집단의 유전 다양성 및 진화적 역사를 탐구하고 있으며, 크리스퍼 매개 유전체 교정 기법을 이용하여 자연 변이 유래 적응 형질을 연구하고 이들 형질의 기능적 역할과 미래 쓰임새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다양한 변이와 다름이 있는 생태계의 생물들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 평형을 이루고 있을까? 자연계의 변이와 평형에 대한 이해, 더 나아가 지구의 미래 지속성과 인간의 더 나은 삶을 만들 수 있는 여러 주제를 함께 공부하고 교육하고 토론하고자 한다.
    What makes nature stable even with such unpredictable variations? This question has led my scientific career and will be the main motivation for my future teaching and research.  My road to understanding natural variation and the ecological coexistence of diverse living things has been initially filled with plant systematics and phylogenetics for my doctoral research on the diversification and the role of hybrid speciation at Yale University.  My post-doctoral research at the Max-Planck Institute in Tuebingen, Germany has broadened my road with a new insight into evolutionary genomics.  I performed a large-scale survey of local field populations using modern genomics technology. I dealt with big sequencing data using my bioinformatics skills to look for a signature of selection and evolutionary footprints relating to local adaptation in model plants and relatives. I continued to broaden my research area with genome editing techniques (the CRISPR/Cas9 system) and led the bioinformatics group at the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 started my lab (Plant Evolution and Genomics Lab: PEGL)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 2020. I have actively extended our understanding of trait evolution and local adaptation with CRISPR systems in plants, which can develop new traits for crop improvement. My lab is also working on population genetic studies of various plant populations. 
  • 윤현호 조교수

    Hyunho Yoon

    • 소속학과

      의생명과학과

    • 연구실

      성심관 SH507

    • 연구분야

      종양생물학

    • 연구키워드

      면역항암/ 암의 발생 및 전이 기전 연구/ 항암 타겟 발굴 및 치료제 개발

    윤현호(Hyunho Yoon) 프로필 이미지
    암의 발생 및 전이 기전에 대해 연구하여 암 치료를 위한 신규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연구하고 있음. 담도암의 치료용 항체에 대한 연구로 과학기술연합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박사후 연구원으로 미국의 University of Miami와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에서 7년간 재직하며,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를 기반으로 하는 최신의 sequencing(예: scRNA-seq, scATAC-seq, ChIP-seq 등) 기법과 다양한 암 동물모델을 경험하고 습득하여 난소암, 유방암 및 소화기계통 암의 발생 및 전이 기전을 연구 함. 이를 통해 암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관련 치료제의 효과를 입증하여 여러 국제 논문에 게제 함. 현재, 가톨릭대학교에서 mRNA기반 치료제 분야의 전문 연구진과 협업을 통해 다양한 플랫폼의 mRNA를 제공 받아 연구를 진행 하여 실적을 쌓고 있음.  또한, 면역항암 연구에 암 환자의 샘플 확보의 중요성에 따라 서울성모병원, 세브란스병원, 차병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의 전문의 연구진과 긴밀한 협력·자문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본 연구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진행 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음.
    My lab focuses on mechanisms of cancer development and metastasis for cancer treatment. After receiving his doctorate in anticancer therapeutic antibodies from th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e worked as a postdoctoral researcher for seven years at the University of Miami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NGS-based technology and various cancer animal models to identify the mechanisms of occurrence and metastasis of ovarian cancer, breast cancer, and digestive cancer. Currently,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e study on mRNA-based therapeutics for cancer therapy. Due to the importance of  cancer patient samples, we collaborate with doctoral researchers at many hospitals. 
  • 김지훈 조교수

    KimJihoon

    • 소속학과

      의생명과학과

    • 연구실

      다솔관 D717

    • 연구분야

      오가노이드 및 줄기세포 생물학

    • 연구키워드

      줄기세포 항상성 조절 질환모델 단백질 분해조절

    김지훈(KimJihoon) 프로필 이미지
    김지훈 교수는 줄기세포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조교수로 건국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였고 포항공과대학교에서 구조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2015년 네덜란드 Hubrecht Institute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음. 이후 2016년부터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줄기세포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시작하였으며 오스트리아 IMBA 연구소에서 2021년까지 박사후연구원을 지냈음. 2021년 9월부터 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에 조교수로 부임하였음. 2021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줄기세포협회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오가노이드, 동물모델, 세포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줄기세포의 항상성 유지와 질병모델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특히 위, 장, 간, 폐, 자궁내막 등 다양한 기관 관련 오가노이드를 활용하여 기관특이적인 줄기세포의 조절 메커니즘과 유전자 교정을 통한 질병모델링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제적인 수준의 다양한 논문을 발표하였음. 현재 가톨릭대학교 뿐만 아니라 기초과학연구원에 초빙연구위원으로 활동하며 2곳의 연구실을 유지하고 있음.
    Prof. Jihoon Kim is working on stem cell biology a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He got a bachelor's degree from Konkuk University, a master's degree from POSTECH, and a PhD from the Hubrecht Institute in the Netherlands. In September 2021, he joined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s an assistant professor. Prof. Kim's lab utilises diverse research models such as organoids, animal models and cell lines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stem cell homeostasis regulation and disease development. Furthermore, Kim's lab can handle diverse organoids such as stomach, colon, liver, lung and endometrium. Due to his works on stem cell biology, he could publish multiple papers in highly appreciated journals. In addition, he is also operating a research lab at IBS CGE in Daejeon as a visiting research fellow.
  • 박대훈 조교수

    DaehunPark

    • 소속학과

      의생명과학과

    • 연구실

      다솔관 D629

    • 연구분야

      신경생물학

    • 연구키워드

      분자세포신경생물학

    박대훈 교수는 2018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에서 신경생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2018년 부터 2023년까지 미국의 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에서 신경생물학 분야 대가인 Pietro De Camilli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2023년 부터 본교에서 신경의학 연구실을 운영해 오고 있으며, 주 연구 분야는 알츠하이머나 파킨슨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발병메커니즘에 대한 규명과 시냅스 전 말단으로도 불리는 Presynaptic terminal에서 일어나는 synapse biology이다.  현재 미국의 Yale University, University of Maine  및 독일의 University of Tübingen 등 해외 유수 연구진과의 활발한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Daehun Park received his Ph.D. in neurophysiology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2018. Following that, from 2018 to 2023, he worked as a postdoctoral researcher at the laboratory of Pietro De Camilli, a leading scientist in the field of neuroscience, at 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Since 2023, he has been running the Neuro Medical Lab here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His main research focuses on elucidating the mechanisms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and Parkinson's, particularly at the molecular level. He is also interested in basic synaptic biology to understand neuronal communication mechanisms. Currently, he is actively engaged i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with leading researchers from institutions such as Yale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Maine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versity of Tübingen in Germany.
  • 노상욱 교수

    Noh Sanguk

    • 소속학과

      컴퓨터정보공학부

    • 연구실

      다솔관 D421

    • 연구분야

      컴퓨터공학

    • 연구키워드

      인공지능

    다중 에이전트 환경에서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분산인공지능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 시간제약적인 환경에서 기계학습 알고리즘과 결정이론을 활용한 유연한 의사결정 방법에 대한 연구 및 국방분야에서 다양한 센서입력을 융합하여 자율적으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무인화 연구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1999년 텍사스주립대학(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에서 지능형 에이전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00년 Oregon Graduate Institute의 Center for Human-Computer Communication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였으며, 2000년 8월부터 2002년 2월까지 미조리주립대학(University of Missouri at Rolla)에서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2002년 3월부터 가톨릭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교수로써 지능형시스템 연구센터를 운영해 오고 있다.  무인화 연구를 다양한 분야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80여편의 논문을 SCI급 국제학술지에 발표했으며, 15건 이상의 산학연 연구과제를 연구책임자로 수행한 바 있다.
    My research interests are multi-agent systems, decision theory, knowledge management, intelligent agent, and distributed artificial intelligence. I received a Ph.D.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form the University of Texas, Arlington, TX, in 1999. I am a professor in the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Engineering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Korea. I previously held research positions at the Agency for Defence Development, Korea (1989-1995), in the Center for Human-Computer Communication, Oregon Graduate Institute, Beaverton, OR (2000), and wa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 Rolla, MO (2000-2002). I am a member of American Associ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AAI), and served as a program committee on Robust Autonomy in the AAAI Spring Symposium, March 2001, Stanford University. I was a visiting researcher within the Berkeley Initiative in Soft Computing (BISC) in the Department of EECS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from January 2006 to January 2008. I am currently leading Center for Intelligent Systems within the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Engineering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